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2012 장애인 올림픽과 선수들을 소개한다.
제목: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2012 장애인 올림픽과 선수들을 소개한다.
장애인 올림픽 역시 올림픽 개최지인 영국 런던에서 개최되었다.
지난 10일 막을 내린 2012 장애인 올림픽에서는 총 25개 국가의 선수들이 매달을
나누어 가졌으며 우리나라는 종합 성적 12위 라는 성적을 냈다. 상대적으로 지난
8월 13일 대단원의 막을 내린 2012 런던 올림픽보다는 적은 응원과 저조한 성적이
었지만 선수들에게는 그 어떤 것보다 보람있고 뿌듯한 기간이었으리라 생각한다.
장애인 올림픽의 경기장 모습이다.
우리나라의 성적도 나쁘지 않았다.
우리나라는 금, 은, 동 각각 9개 씩으로 종합 27개의 매달로 12위를 차지했다. 장애
인 올림픽에 대한 국민들의 저조한 관심과 정부의 지원, 홍보 등에 비하면 훌륭한
성적이라고 할 수 있다.
우리나라는 수영, 보치아, 사격, 양궁, 유도 등에서 금메달을, 양궁, 역도, 육상, 탁
구 등에서 은메달을 탁구 등에서 동메달을 따는 등 종목에 구애 없이 전 종목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어 작지만 강한 나라 라는 것을 이번에도 유감없이 발휘하고 돌
아왔다.
우리나라에서는 사격, 양궁 등에서 많은 금메달을 획득했다.
제목: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2012 장애인 올림픽과 선수들을 소개한다.
선수들의 노력이 주목할 만 했다.
여느 운동경기에서도 그렇겠지만 장애인 올림픽에서는 더더욱 선수들의 노력과
열정이 필요했다.
다리가 없이 수영에 도전하는 선수, 눈이 보이지 않아도 심판과 감독의 종소리에
맞추어 결승점에 통과 하는 선수 등 말 그대로 런던을 감동과 눈물의 도가니로 만
든 것이다.
상대적으로 적은 지원과 투자에도 자신의 기량을 여지없이 발휘한 선수들에게 국
민들은 모두 박수와 응원을 보냈다.
2012 장애인 올림픽의 개막식 모습이다.
더 많은 관심과 투자가 필요하다.
다만 아쉬웠던 점은 일반 올림픽에 비해 국민들의 관심과 정부차원의 지원이 많이
미흡했다는 것이다. 일반 올림픽에서도 지원이 녹록치 않아 운동선수들의 불편
이 문제가 되고 있는데 오히려 몸이 불편해서 더 많은 도움이 필요한 선수들에게
지원과 응원이 너무 부족했다. 그들의 노력에 비해 아직 장애인 올림픽에 대한 홍
보가 많이 되지 않았고 아예 방송 자체가 되지 않는 경기 종목도 있었기에 많은
아쉬움이 남는다.
장애인 올림픽에서는 ‘인간 승리’라는 표현이 전혀 어색하지 않다.
1960년부터 4년 마다 올림픽 개최지에서 열리게끔 되어있는 장애인 올림픽, 즉 패
럴림픽은 2016년에는 브라질 리오에서 그 성대한 막을 올린다. 모두의 노력과 관
심으로 4년 뒤에는 더 주목할 만한 성과들로 우리 선수들이 금의환향 할 수 있기
를 기대해본다.
제목: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2012 장애인 올림픽과 선수들을 소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