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찌아찌아족 마을의 세종학당이 모두 철수하였다?! 한글의 운명은?

찌아찌아족 마을의 세종학당이 모두 철수하였다?! 한글의 운명은?

 

 

찌아찌아족이 한국을 방문 했을 당시의 모습이다.

 

 

 

 

찌아찌아족을 모두 기억하는가? 찌아찌아족은 독자적인 언어는 있지만 문자가 없

어 고유어를 잃을 처지에 놓였던 민족이다. 지난 2009년 훈민정음학회의 건의로 한

글을 표기 문자로 도입하고 학회가 만든 교과서를 써왔다. 그런데 이번에 찌아찌아

족 마을에서 세종학당이 모두 철수하였다고 한다. 어떻게 된 일이며, 한글의 운명

은 어떻게 될지 알아보자.

 

 

 

 

한글로 표기된 책으로 공부하는 찌아찌아족의 모습이다.

 

 

 

 

세종학당 철수와 현지 유일 한국인 교사의 귀국

세계 최초로 한글을 공식 표기 문자로 도입했던 인도네시아 소수민족 찌아찌아족

의 바우바우시에서 한국어 교육기관과 현지 유일의 한국인 교사가 모두 철수한 것

으로 확인되었다. 8일 훈민정음학회와 문화체육관광부, 경북대 등에 따르면 인도네

시아 술아웨시주 부톤섬 바우바우시에서 운영된 한국어 교육기관 ‘세종학당’이 지

난 8월 31일 철수했다고 한다. 세종학당의 철수와 함께 강사로 파견됐던 현지 유일

의 한국인 교사인 정덕영씨도 한국으로 되돌아왔다고 한다.

 

 

 

 

 

 

찌아찌아족을 위해 만든 한글 교재의 모습이다.

찌아찌아족 마을의 세종학당이 모두 철수하였다?! 한글의 운명은?

 

 

세종학당의 철수, 무엇이 문제였는가?

세종학당은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어세계화재단이 세계 각지에 설립하는 한국어

교육기관이다. 바우바우시에는 경북대와 인도네시아 무함마디아 부톤대 협력으로

설치되어 올해 1월 30일 개원했었다. 그러나 세종학당 운영 과정에서 경북대가 재

정적인 어려움을 겪고 바우바우시 측과 각종 오해를 빚다가 7개월 만에 철수를 결

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 동안 서울시가 바우바우시와 문화예술 교류 협력을 위한

의향서를 체결하고 문화부가 세종학당을 세우는 등 지자체와 정부가 나섰었다. 하

지만 재정적 어려움과 문화적 갈등 등으로 한글 보급은 줄곧 난항을 겪어왔으며,

그 결과 이번과 같은 사태가 벌어진 것으로 보인다.

 

 

 

 

 

훈민정음학회에서 만든 찌아찌아족을 위한 한글 교재이다.

 

 

 

한글의 운명은 어떻게 될 것인가?

이 사태가 알려지면서 한글의 독창성과 우수성을 보여주는 사례로 손꼽혀왔던 찌

아찌아족 대상 한글 보급활동이 중단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게다

가 한글 수용을 주도했던 아미룰 타밈 바우바우 시장이 올해 12월 임기를 마치게

돼 향후 공식 표기문자로서의 한글의 위상에도 타격이 우려된다. 문화체육관광부

는 바우바우시에 세종학당을 맡을 다른 대학을 찾아 운영을 재개할 계획이라고 밝

혔다.

 

 

 

 

찌아찌아족 아이들이 한글 수업을 듣고 있는 모습이다.

 

 

 

 

찌아찌아족은 우리나라가 한글을 표기문자로 수출한 최초의 유일무일한 민족이다.

한글이 찌아찌아족에게 외면받는 상황이 연출 된 지금, 한글이 찌아찌아족과 함께

할 수 있을지 아니면 다시 고국으로 돌아와야 할 지는 전적으로 찌아지아족에게 맡

겨야 할 것이다. 그래도 한국인으로서 찌아찌아족이 다시 한글을 받아 들이면 좋겠

다는 생각을 하면서 오늘의 포스팅을 마친다.

 

찌아찌아족 마을의 세종학당이 모두 철수하였다?! 한글의 운명은?